전문가 “북 중거리미사일 고체연료엔진, 러시아 기술 가능성”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새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1일에,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4일에 성과적으로 진행했다″라고 보도했다. 뉴스1
북한이 지상분출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중거리 탄도미사일용 고체연료엔진이 러시아 기술로 제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독일의 미사일 전문가 로버트 슈머커 박사는 북한의 새 IRBM 용 고체연료 엔진이 러시아의 기술로 제작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슈머커 박사는 통상 IRBM용 고체연료 엔진 지상분출 시험은 통상 수십 번을 거쳐야 성공할 수 있는데, 북한은 그런 과정 없이 갑자기 성공했다고 발표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외부의 도움을 받지 않고선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북한이 러시아의 기술이 아니라 엔진 자체를 받았다고 본다”라며 “북한의 생산 역량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북한에 기술만 주면서 제작 방법을 가르쳐 주는 식으로는 북한이 엔진을 만들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다른 독일의 미사일 전문가 마커스 실러 박사도 RFA에 북한의 이번 엔진이 러시아의 기술 지원으로 제작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먼저 개발한 뒤 IRBM용 고체연료 엔진 시험을 한 것이 소련 방식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실러 박사는 “1970년대 소련은 3단 고체연료 ICBM ‘SS-16’을 먼저 개발한 뒤 위의 3단을 제거하고, 2단으로 구성된 IRBM ‘SS-20’을 개발했다”라며 “IRBM을 개발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은 기존 고체연료 ICBM에서 3단을 제거하고 1단과 2단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브루스 베넷 미국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북한이 러시아의 단거리탄도미사일 ‘이스칸데르’를 모방해 KN-23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만든 만큼 IRBM용 고체연료 엔진도 러시아의 기술을 모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시드니 사일러 전 미국 국가정보국 산하 국가정보위위원회(NIC) 담당관은 “러시아가 북한에 미사일 관련 기술을 이전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거래가 이뤄진 뒤 이번 시험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러시아 기술이 연관됐을 수 있다”라며 “러시아는 그동안 국가 차원에서 다른 나라에 핵프로그램을 지원하지 않았는데 이 방침이 바뀌었을 수 있다”라고 추측했다.
반면 안킷 판다 미국 카네기국제평화기금 선임연구원은 “이번 엔진 시험에 러시아 기술이 사용됐다는 공개적 근거는 보지 못했다”라며 “북한은 한동안 자체적으로 고체 추진제를 개발해왔다”고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5일 “새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을 개발하고 1계단(단계)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1일에,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1월14일에 성과적으로 진행했다”며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고 주장했다.
下一篇:Wage talks between Kia, labor union fail again
相关文章:
- Foreigners turn net sellers of S. Korean stocks for 15 sessions
- [Our Museums] Gyeonggi Ceramic Museum shows artistic essence of ceramics throughout history
- Chief justice seat at top court left vacant amid Assembly chaos
- [Our Museums] Gyeonggi Ceramic Museum shows artistic essence of ceramics throughout history
- Doosan Robotics to supply chicken
- [Our Museums] Gyeonggi Ceramic Museum shows artistic essence of ceramics throughout history
- Asiana may ditch cargo business to close Korean Air merger deal
- Yoon appoints new defense, culture ministers without parliamentary confirmation
- S. Korea entering 'recovery phase' amid geopolitical uncertainties: Choo
- 尹 “국민, 안보 믿음 가졌을 것”…4000명 장병 동원 행진 주관
相关推荐:
- [New in Korean] Booker Prize
- S. Korean fencer Oh Sang
- Orchestra composed of players with visual impairment to perform Oct. 4
- 외교부, 이스라엘 전역 여행경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 [Coffee Klatch] Take a sip of Turkish coffee in Seoul
- Yoon plans state visits to UK, Netherlands later this year
- Seoul condemns Hamas’ attack on Israel
- [Herald Interview] 'UN peacekeeping forces need better gender equity'
- BOK expected to stand pat this week over growth risks: experts
- S. Korea holds rare military parade, warns NK against nuclear attack
- [New in Korean] Witches, ecofeminism, climate crisis: Tale of resilience and nature’s power
- Korea extends fuel tax cut scheme until year's end
- HD Korea Shipbuilding to build world's first ammonia
- 이용, 지도부 때린 서병수·홍문표에 "선당후사·솔선수범 하라"
- S. Korea joins ICRC's major donor group for 1st time
- SK chief discusses ICT partnerships with Estonia, Carribean Community
- Over 90% of fines for illegal short selling imposed on foreign firms
- S. Korea entering 'recovery phase' amid geopolitical uncertainties: Choo
- Seoul shares open lower ahead of earnings season
- [이번 주 리뷰] 중동 전쟁 우려…국민의힘 보선 참패(9~14일)
- 野 “與 보선 참패 후 이재명 전광석화 기소…국민 심판받을 것”
- 28th BIFF comes to an end
- Kia to expand EV lineup with mass market appeal
- [Herald Interview] Samuel Youn celebrates career in ‘From Darkness to Light’
- “가자주민 삶 최악…한국지원 절실”
- “北, 무단철거 금강산 골프장서 옥수수 건조”
- Conflict between Fifty Fifty and agency Attrakt continues to escalate
- Le Sserafim becomes house ambassadors for Louis Vuitton
- P&G Korea launches premium diaper to combat skin dryness
- [Herald Interview] Indonesia's Aladin Bank CEO eyes digital banking partnerships with Korea